세계 3대 클래식 콩쿠르 중 하나라고 불리는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는 유구한 전통답게 특이한 룰이 있다. 경연은 지정곡과 자유곡을 하나씩 연주하게 되며 결승 진출자들은 핸드폰을 포함한 모든 전자 기기를 반납한 채 외부와 차단된 채플에서 8일 동안 경연을 준비해야 한다. 2015년도에는 한국인 [더 보기]
당신이 [At Doors](2016)를 기억하고 있다면, 그건 2016년에 간직해야 할 좋은 팝 앨범을 놓치지 않았다는 의미일 것이다. 이 앨범이 그해 대중적으로 거대한 성과를 이뤄냈다고 말하긴 어렵겠지만, 적어도 2016년에 가장 색깔 있는 팝 밴드의 등장을 확실하게 알린 음반임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2년이 조금 [더 보기]
대한민국에서 로큰롤은 ‘누구나 알지만 누구도 모르는’ 장르다. 로큰롤이란 단어를 들어본 사람은 많아도, 로큰롤이 어떤 음악인지 아는 사람은 드문 게 현실이다. 록이 대중음악의 주류를 차지해 본 역사가 없는 이 땅에서, 록보다 앞서 등장한 로큰롤이 지류라도 형성해 볼 겨를은 없었다. [더 보기]
대중음악에서 여행은 다양한 형식으로 끊임없이 변주되며 청자를 매혹해 온 주제다. 시간을 조금 거슬러 올라가면 김현철의 ‘춘천 가는 기차’가 경춘선을 젊음과 낭만의 명소로 만들었고, 최근에는 볼빨간 사춘기의 ‘여행’이 괜스레 많은 사람의 마음을 들뜨게 하지 않았던가. 여행은 가끔 방황과 [더 보기]
이촌향도(離村向都)는 일자리를 찾는 지방 청년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고향에서 실력을 키워 인지도를 얻은 지역 밴드들이 거점을 서울로 옮기거나, 공연을 위해 홍대 앞으로 모여드는 모습은 낯선 풍경이 아니다. 많은 지역 밴드들이 화려한 성공을 꿈꾸며 서울행 편도 티켓을 끊을 때, 저 멀리 남쪽 [더 보기]
언제부턴가 신승훈은 제작에 집중하고 있다. 이미 대한민국 최정상으로서 꽉 찬 경력을 소유한 그가 제작에 뛰어드는 건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비추어지나, 하필 2010년대 중반 이후부터 이러한 행보를 보여줬다는 것에 의문이 들었던 건 사실이다. 더불어 짧은 동행 후 이미 틀어져 버린 맥케이(McKay)를 [더 보기]
시원한 드라이브를 마친 느낌이다. 곡은 후렴에 모든 무게를 실어 놨는데, 그 의도가 절로 수긍될 만큼 밴드는 물론이고 현악까지 풀 세션으로 동반되며 후반에서 모든 게 터져준다. 조금은 뻔한 진행이기도 하고, 오래된 전개로 시작과 끝을 맞이하나 그 이음새가 너무나 잘 맞아떨어지면서 절로 즐길 [더 보기]
좋은 앨범을 규정하는 기준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보편적으로 충족되는 기준은 있다. 시간이 지나도 듣고 싶고, 잊힐 때쯤 손이 가는 음반이며, 대중음악사에서 작은 역할을 했다면, 분명 기억돼야 할 앨범일 것이다. 여성 듀오 허쉬(Hush)의 멤버이자 2002년 솔로로 활동한 쥬비의 첫 앨범 [더 보기]
무대의 내용과 상관없이 진행만 따진다면 2018년 최악의 내한 공연일 것이다. 이 불행의 시작을 굳이 찾는다면 폭염부터 출발할 수 있다. ‘잠실 보조경기장’. 한여름 하늘이 뻥 뚫린 그곳에서 공연을 진행함에도 주최 측은 700mL 생수만 반입이 가능한 원론적인 입장을 내놨다. 그러다 행사 전날 [더 보기]
역시 신현희라는 생각이 든다. ‘오빠야’(2015)의 성공 이후 적지 않은 압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번에도 뛰어난 멜로디를 창조해낸다. [신현희와 김루트](2015) 때부터 지금까지 매번 선명하고 총명한 선율은 감히 팀을 넘어 한국 대중음악판에서 살펴봐도 눈에 띈다. 그만큼 이 팀은 곡을 잘 쓴다. [더 보기]